<p></p><br /><br />[인터뷰: 故 정유엽 군 아버지] <br>요즘 돼서 유엽이가 좀 더 그리워지는 게 참 잘 자랐는데 아쉽죠. 잘 컸는데 <br><br>다정스런 아들이 떠나고 어느새 다섯 달. 가족들의 마음에 유엽이는 여전히 살아있습니다. <br><br>[인터뷰: 故 정유엽 군 아버지] <br>일주일에 서너 번은 묘지에 가요. 가서 보고 그럼 좀 위안을 찾고. <br><br>당시 상황은 목구멍 속 가시처럼 남아있었는데요. <br><br>[인터뷰: 故 정유엽 군 아버지] <br>응급실 갔을 때는 진료 자체를 거부당한 거죠. 응급실로 가니까 들어가 보지도 못하고.<br><br>다음 주부터는 중중 환자가 쏟아질 텐데. 의사들까지 파업을 강행한다고 합니다. <br> <br>정부가 그간 의사들을 설득하고 소통하는 부분, 부족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요, 의사들도 이 위중한 상황에서 파업을 밀어붙여야 하는지 국민들은 납득할 수 있을까요? <br> <br>전염병으로 온 나라가 마비된 순간. 아픈 환자들이 매달릴 사람 누구일까요? <br> <br>유엽이 같은 황망한 죽음이 되풀이되지 않길. 오늘 클로징은 유엽 군 아버님 말씀으로 대신하겠습니다. <br><br>[인터뷰: 故 정유엽 군 아버지] <br>유엽이 같은 이런 아픔을 겪는 가정들이 안 나올 수 있도록 같이 합심해주셨으면 좋겠다는 바람이죠. <br><br>뉴스A 마칩니다.